2024 ✢

mobile app develper

Portfolio

by

주형인

좋아하는 일을 하며 인생을 살아갑니다

Address

서울시 영등포구 도림동

phone

010-2094-6440

e-mail

guddls654@gmail.com

About me

주형인

Flutter & React Native 기반의cross platform 앱 개발 경험

모바일 앱 개발, API서버 통신 업무 수행

기획부터 참여해서 개발, QA, 리팩토링, 성능개선, 출시를 모두 참여

기획자, 디자이너, 외부 개발자 협업 경험


project

  1. 디플래닛
  2. 디플래닛 플러스
  3. 모코모코

난임의 경험에 대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난임 커뮤니티앱

1. 디플래닛


주요 담당 개발 영역

  • 전체 유저와 지역별 유저가 볼 수 있는 커뮤니티
  • 게시글을 쓰고 댓글, 대댓글로 소통을 할 수 있는 모든 기능
  • 주소 검색과 GPS기반 현재 위치 좌표 통해 지역 설정
  • 게시글, 정보글 통합 검색, 최근검색어, 검색어 하이라이트
  • 내 게시글, 공지사항 등 마이페이지 모든 기능


기간 - 2023.07 ~ 2023.10 (4개월)

개발스택 - Flutter, Node, Nest

인원 - FE 2명, BE 2명

기여도 - 70%

고위험 임신을 관리할 수 있는 유일한 임신, 육아 앱

2. 디플래닛 플러스


주요 담당 개발 영역

  • 레이어를 쌓을 수 있고, 터치 이벤트가 가능한 꺾은선 그래프
  • 인 앱 결제
  • redux toolkit을 이용한 타이머
  • 웹뷰 기반 정보글
  • 건강 기록, 산전 검사 기록(사진, 동영상 첨부 가능)
  • 마이 페이지 모든 기능


기간 - 2023.03 ~ 2023.5 (3개월)

개발스택 - React Native, Node

인원 - FE 3명, BE 1명

기여도 - 50%

사이드 프로젝트와 스터디 멤버를 모집할 수 있는 커뮤니티 앱

3. 모코모코

기간 - 2021.04 ~ 2021.05 (1개월)

개발스택 - React Native, Node

인원 - FE 2명, BE 3명

기여도 - 50%


주요 담당 개발 영역

  • GPS기반 현재 위치 설정
  • 지도에 핀 형식으로 위치별 게시글 (Google Map)
  • 채팅 (socket.io)


Acid Graphic Elements Concetric Circles Optical Illusion
Acid Graphic Elements Whirpool Optical Illusion
Acid Graphic Elements Sunburst Optical Illusion

김현수

형인님의 특유의 밝은 분위기와 자연스럽게 풍기는 친근감으로 주변 분위기를 밝고 열정적으로 만듭니다. 형인님의 긍정적인 성격 덕분에 입사 후 처음 상경했을 때 회사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형인님은 맡은 일에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의견을 솔직하게 표현합니다. 업무나 회의에서 대부분 먼저 의견을 내주시는데, 이러한 형인님의 의견 제시는 모두가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또한 형인님의 의견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이기에 문제 해결의 핵심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인님은 언제든지 함께 일하고 싶은 열정 넘치는 개발자이며, 함께 일할 때 끊임없는 영감을 받게 됩니다.

김시훈

밝은 성격으로 주변 동료들에게 살갑게 대해주었으며, 덕분에 팀원 간에 의사소통할 때 거리낌 없이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었고, 의사소통이 어째서 중요한 것인지 덕분에 배우게 되었습니다.

2주에 한 번씩 카페에서 팀원 간에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했던 방법들을 피드백하는 시간을 제안해 주셨으며, 덕분에 기술적으로 많은 공유가 될 수 있었습니다.

항상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시고 옆에서 지켜보며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더 좋은 곳에서 꼭 다시 동료로 만나고 싶습니다!! 🙏

김태수

사내 앱의 개발과 유지보수를 홀로 도맡아 하고있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묵묵히 자신이 해야할 일을 잘 해내는 믿음직한 동료이다. 또한 논리력이 상당히 우수하고 대화가 편한 동료이다. 의사소통 간 본인이 생각하는 바를 논리적으로 차분히 풀어 설명할 줄 알며, 개발 중 기술적으로 어려워보이는 상황이 오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한 단계씩 사고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정말 '개발자' 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개발자로써 또다른 장점은 누가 말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한번 더 돌아볼 줄 안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코드 내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하며 앱의 최적화에 크게 기여해 회사에 보탬이 되었다.

peer review Reference